잡다한것들(5)
-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
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이란? 웹이나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를 찾아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다음은 대표적인 포털 사이트들의 검색 엔진 가이드들이다. 웹마스터 가이드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네이버 검색을 위한 웹마스터 가이드 입니다. 웹마스터 가이드 라인은, 네이버 검색이 콘텐츠를 발견하고 색인할수 있도록 웹사이트에 필요한 기본 요소들을 다룹니다. 모든 웹사이트는 다릅니 searchadvisor.naver.com Daum 고객센터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도움말을 찾거나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cs.daum.net SEO 기본 가이드: 기본사항 | Google 검색 센터 | 문서 | Google Developers 검색엔진 최적화의 기본사항에 관한 지식만으로도 ..
2023.03.20 -
[2023.03.03] 블록 vs 인라인, 콘텐츠 카테고리
블록 레벨 요소 🆚 인라인 레벨 요소 블록 레벨과 인라인 요소의 분류는 HTML 4.01까지 사용되었다. 현재 표준 HTML5에서는 콘텐츠 카테고리 집합으로 대체되었다. block 부모 요소의 전체 공간을 차지하여 블록을 만듬. 언제나 새로운 줄에서 시작, 좌우 양측으로 가능한 모든 너비를 차지한다. 앞뒤 요소 사이에 새로운 줄을 만든다. 이전 이후 요소 사이에 줄 바꿈이 일어남. 페이지의 구조적 요소를 나타낼 때 사용 블록요소는 인라인 요소 안에 중첩 될 수 없지만, 인라인 요소는 블록 요소 안에 중첩될 수 있다. width, height 크기를 지정할 수 있고, padding, border, margin 속성을 사용할 수 있다. div, p, li, nav, footer inline 항상 블록 레벨 ..
2023.03.03 -
✏️코드펜(CodePen) 사용법
🔍코드펜 사용법과 티스토리 게시글에 붙여넣는 법까지 간단하게 정리해보았다. 코드펜(CodePen)이란? 코드펜(CodePen)은 사용자가 만든 HTML, CSS, 자바스크립트 코드 조각을 테스트하고 시연하기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이다. 출처 - 위키백과 CodePen An online code editor, learning environment, and community for front-end web development using HTML, CSS and JavaScript code snippets, projects, and web applications. codepen.io 코드펜에서 자신이 만든 HTML, CSS, JS 코드를 테스트할 수 있고, 티스토리 같은 블로그에 공유할 수도 있다. 티스토리를..
2023.03.03 -
[2023.03.02] Web, HTML, CSS, JavaScript
🔍Web Web은 World Wide Web의 재귀적 용어로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공용 홈페이지 자주 사용하는 Naver, Google 등이 대표적인 웹페이지 Web !== Internet 웹은 인터넷과 다르다. 웹은 인터넷을 기반한 수많은 서비스 중 하나이며 다른 서비스로는 이메일, 파일전송 등이 있다. 각 서비스들은 해당하는 통신규약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서비스 이름 통신규약 Web(웹페이지) HTTP, HTTPS Email(이메일) SMTP/POP3/IMAP FTP(파일전송) FTP/SFTP Web 개발의 대표 기술들 Web 개발의 대표 기술은 HTML, CSS, JavaScript이다.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라 콘텐츠의 구조를 정..
2023.03.02 -
[23.02.28] URL , IP , Port
멋쟁이사자처럼 프론트엔드스쿨 5기에서 배운 CS 지식을 기록하는 글입니다. URL URL은 도메인을 포함한 경로를 뜻한다. 이 경로는 웹페이지의 주소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도메인은 IP주소에 이름을 매겨서 사용자가 접근하기 쉽게끔 하는 서비스이다. 위 주소에서 naver.com이 도메인이 되는것! 컴퓨터와 통신할 때에는 숫자로 표현된 주소인 IP를 사용하고, 이걸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길이도 길고, 외우기도 어렵다. 이를 변환해주는 것이 도메인인것. 우리는 일상적으로 도메인이 포함된 URL 경로를 많이 접할 것이다. URL의 구조는 간단하게 프로토콜, 도메인, 패스, 파라미터, 프래그먼트로 이루어져있는데, 이는 나중에 더 자세하게 배우게 되면 그 때 다시 정리해야겠다. IP IP는 쉽게 말하자면 주소이다..
2023.02.28